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2096

현실 속에서 불법은 맥동 현실 속에서 불법은 맥동         진달래꽃에서 벚꽃까지 봄을 채색하는 아리따운 꽃들이 그 자태를 마음껏 뽐내고 있다.‘꽃’에 대해 어서(御書)에도 여러가지로 언급되고 있지만 특히 의 일절은 유명하다. “이전(爾前)의 경(經)들의 뜻은… 마음이 청정함은 꽃과 같다지만, 법화경(法華經)은 그렇지 않으니, … 꽃이야말로 마음이라고 하는 법문이니라”(어서 1597쪽)라고.‘불법(佛法)즉세법(世法)’에 대해 ‘금광명경’ ‘열반경’ ‘법화경’에는 모두 설해져 있다.먼저 ‘금광명경’과 ‘열반경’에서는 ‘깊이 세법을 아는’ 것이 불법이라고 설한다. 그러나이것은 생각이 아직도 얕다고 할 것이다. 법화경은 ‘세간의 법’이 그대로 ‘불법의 전체’라고 설한다. 즉 법화경의 본의(本意)는 ‘불법은세법의 내오(內奧)에 있다.. 2024. 6. 25.
불사 불사   ‘진리’로 부동의 경애를          대공(大空), 대해(大海), 산 등 세계 어느 곳으로 숨어들어가든, 죽음이 위협하지 않는 곳은  없다.이 현실세계에서는 과거에 존재했던 어떠한 사람이었건 미래에 출현할 어떠한 사람이건 살아 있는 것은 모두 떠난다.지혜 있는 사람은 덧없는 것에 대한 집착을 던져 버리는 것을 알고, 진리에 발을 딛고 청정한 행동을 해야 한다.세간 사람에게 있어 욕망을 탐(貪)하는 쾌락은 단절하기 어려운 것이지만, 현자는 사람이 늙는 것을 보고, 병드는 것을 보고, 생명이 없어진 죽은 사람을 보고, 세간적인 얽매임을 버렸다. 왕이 타는 수레가 아무리 호화롭게 장식돼 있어도 언젠가는 썩어 버린다. 신체도 늙게 된다. 그러나 선(善)한 현자의 덕(德)은 늙어 썩는 일이 없다. 선.. 2024. 6. 25.
他人을 앞서 가다 他人을 앞서 가다    석존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모든 것을 이기고, 모든 것을 숙지하고, 현명하고, 무엇에 의해서도 마음이 더럽혀지지 않고, 모든 것에 대해 구애받는 마음을 버린 사람, 이같은 사람이야말로 성자(聖者)라는 것을 현자(賢者)는 안다. 지혜의 힘이 있고, 몸을 근신하고, 자기가 세운 서원을 지켜내는 사람, 마음을 잘 집중하고 집착으로부터 해방돼 마음에 ‘거침(荒)’이나 ‘더러움(汚)’이 없는 사람, 그러한 사람이야말로성자라는 것을 현자는 안다.혼자 걷기를 계속해서 비난을 받건 칭찬을 받건 흔들리지 않는 사람.어떠한 이야기에도 동요하지 않는 사자(獅子)처럼, 어떠한 그물에도 잡히지 않는 바람처럼,흙탕물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 타인의 뒤를 쫓아가는 것이  아니.. 2024. 6. 25.
‘존극한 생명’을 여는 묘법 ‘존극한 생명’을 여는 묘법정말 ‘대단한’ 사람이란 누구인가.성훈에 “왕은 백성을 어버이로 하고”(어서 1554쪽)라고 있다.위정자는 민중을 ‘어버이와 같이’ 존경하고 소중히 해야 한다는 말씀이다.또 니치렌(日蓮)대성인은 민중이 안고 있는 괴로움의 원흉은 그릇된 종교라고 갈파하시고 가마쿠라 막부의 실력자 헤이노 사에몬노조 요리쓰나를 엄하게 간효했다.“(당신은) ‘만인의 수족(手足)’이 아닌가. 이 나라가 멸망하려는 것을 어째서 비탄하지 않는가.”(어서 171쪽, 통해)그리고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박해하는 권력자들을 “조그마한 소도(小島)의 국주(國主) 등”(어서 911쪽)이라고 엄연히 내려다보고 있다.한편 대성인은 묘법(妙法)을 수지한 서민의 실상은 법화경에 설해진 ‘보탑’이라고 단언한다.“말법(末法).. 2024. 6. 25.
인간존엄을 고양시키는 언론 인간존엄을 고양시키는 언론 ‘권실이교’의 싸움가짜·사이비·정보날조의 사회인터넷으로 상징되듯 현대는 정보화사회다.우리들의 일상생활에는 전자정보 그 자체나 거기에서 파생된 정보가 넘치고 있는 한편,사물의 진위나 정사를 간과하고 가치관이 혼란을 초래한다.그 중에는 의도적으로 곡해, 날조하여 사실을 폄하하려는 사이비 정보도 끊이지 않는다.실로 말법의 양상이 아닐 수 없으며 현대만큼 진정한 철학이 요구되는 때는 없을 것이다.‘가짜’가 횡행하는 시대에 진위를 가리는 것의 중요성과 또 사람들을 진실에 눈뜨게 하기위한 언론의 자세를 에 나타난 니치렌(日蓮) 대성인의 언론투쟁 에서 배우고자 한다. 말법에 엄습하는 무명의 어둠문영10년(1273년) 5월 사도유죄 와중에서 쓰신 는 말법에 삼류의 강적에굴하지 않고 권교를 파.. 2024. 6. 25.
분쟁의 시대’에 격류 물리치는 불법 분쟁의 시대’에 격류 물리치는 불법‘투쟁의 때’에 출현하는 지용의 보살다툼을 낳는 ‘차이에 대해 구애되는 마음’보편주의에 의한 분쟁을 극복하는 힘니치렌(日蓮) 대성인은 시대와 함께 살고, 시대의 과제에 정면으로 맞선 분이셨다.그렇기 때문에 시대의 위기를 근본적으로 통찰하고, 그것을 구하기 위해 불법(佛法)의 진수를 시대 속에 소생시키는 투쟁을 일으키셨다.대성인은 “반드시 우선 시(時)를 배울지니라”(어서 256쪽) 등이라고 말씀하시고 불법을 홍통 하려면 ‘때(時)’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신다. 어느 의미에서 ‘시대’야말로 대성인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였던 것이다. “일체가 때에 따르는 것이니라”(어서 1238쪽)라고 말씀하시고 있는 것처럼 ‘때’는 인간과사회를 끌어들이고 국토와 자연마저 감싼다. 그러므로.. 2024. 6. 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