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Q&A 불법에 대한 신앙에 대한 질문과 답변48 근행 창제할 때 마음가짐과 자세는 감사와 환희에 찬 근행 창제여야 한다근행 창제는 소우주인 자기 자신을 대우주의 근본 리듬에합치시키는 숭고한 의식이다.자세는 늠름하게, 누가 보더라도 상쾌하고 장엄한 느낌을주는 모습이어야 한다.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등을 똑바로 세우고, 보은 감사의 일념을담은 눈으로 본존님을 정시하고, 중앙에 쓰인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의 문자부근을 배견하는 것이 좋다. 또 중심자가 관념을 하고 있을 경우에는 합장한 채로 자연스럽게 머리를 숙이도록 한다.근행 창제는 신심 일체의 근본이며 우리들이 지향하는 일생성불,그리고 인간혁명 운동의 원점이다.따라서 최고의 예의를 다해 진지한 태도로 근행하는 것이 본디 본연의 자세다.이러한 마음가짐으로 근행의 자세를 바로해야 한다.근행 창제를 할 때 두손을 모으는 것을 합장(合掌.. 2024. 9. 16. 원질이라는 말의 뜻은? 정법을 가르침대로 실천하는 사람을 증오하고 질투하는 것정법을 수지한 사람에게“만나고 싶지 않다. 듣고 싶지 않다”라고하는 것도 원질이라고 할 수 있다. 묘법(妙法)을 신앙하는 사람을 경시하고 증오하며, 질투하고 원한을 품는 것은 방법(謗法)이고스스로 공덕(功德)의 근본을 단절하는 행위이므로 엄히 충고해야한다.니치렌(日蓮) 대성인은 에서“법화경(法華經)을경과 같이 수지(受持)하는 사람들도 법화경의 행자를 혹은 탐진치(貪瞋癡)에 의하여 혹은 세간(世間)의 일에 의하여 혹은 가지가지의 거동에 의하여 미워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법화경을 믿어도,믿는 공덕은 없고 오히려 벌을 받느니라”(어서 1247쪽)라고원질을 엄히 훈계하신다.특히 니치렌 대성인을 원망하고 질투하는 것을 훈계하시는 말씀인데 일반적으로 묘법을 .. 2024. 9. 15. 방법은 불행의 원인이라는데 방법은 무엇인가 ‘방법(謗法)’은 법을 비방하는 것 즉 불교에서 설하는 법에 위배해 그 가르침을 비방하는 것이다. 경전(經典)에는 여러 가지 법이설해졌으나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성불(成佛)하기 위한 진실한법이 설해진 것은 ‘법화경(法華經)’이다.따라서 법화경에 위배하는 죄가 방법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그리고 성불이란 절대적 행복 경계를 말한다. 진실한 법이 설해진 법화경에서는 일관해서 ‘신(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불신방법의 죄가 얼마나 큰 것인가 밝힌다.예를 들면 “만약 사람이 믿지 않고 이 경을 훼방하면 즉 일체세간의 불종(佛種)을 단절하리라, 내지 그 사람은 명종(命終)하여 아비옥(阿鼻獄)에 들어가리라”(어서 29쪽) 등 방법 죄의 과보(果報)가설해져 있다. 법화경에 불신을 품고 비방하는 사람은 성불의 종자를.. 2024. 9. 15. 부처는 니치렌 대성인이 아니라 석존이 아닌가 부처는 니치렌 대성인이 아니라 석존이 아닌가석존과 연이 없는 말법의 우리에게 행복을 주는 부처는니치렌 대성인부처는 민중구제를 위해 세상에 출현하셨다.일반적으로 부처라면 인도에 태어난 석가모니만을 생각하는사람도 있고 아미타여래(阿陀如) 등처럼, 다른 불도의 부처도우리를 구제하는 부처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불교에서 부처라고 부르는 분은 많으나 부처는 때와 장소와 중생에응해 한사람 한사람 출현하시므로 결코 한번에 두사람의 부처는출현하지 않는다고 가르친다.이는 부처도 민중을 구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출현하심에 그때그때 민중을 구제하는 법을 갖고 계신다.부처의 법이라 해서 어느 부처의 법이든 다 좋다고 할 수는 없다.석존의 법은 3천년 전에 출현해서 2천년 간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민중을 구제했다. 석존.. 2024. 9. 15. 성불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모든 사람을 지키고 인도하며 자비를 베푸는 힘을 가진 광대한 경계 사람이 죽었을 때 ‘성불했다’고 종종 말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부처라고 하면 죽은 사람을 생각하거나 불상 등을 생각해, 성불은 그리 하고 싶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 그러나 이것은망인을 애도하는 뜻에서 말하는 것이며 성불의 본의는 전혀 다르다. 성불이란 문자 그대로 ‘부처가 되는 것’이다. 알기 쉽게 말하면부처란 ‘깨달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우주와 자연의 진리를간파하고 자기 생명의 진실한 모습을 깨달은 사람을 말한다. 경전에서는 부처의 모습을 양미간에서 빛을 발한다든가 발바닥에 무늬가 있다는 등 여러 가지로 설하고 있으나, 이는 부처가 인간으로서 가장존귀한 존재라는 것을 상징한 것일뿐 특별한 모습을 하고 신통력을 가진 존재라고 .. 2024. 9. 15. 숙명전환을 할 수 있는가 불교에서는 보통 숙업이라고 하는데, 숙명 즉 숙업을 전환하지 못하면 힘있는 종교, 진실한 불법(佛法)이라고 할 수 없다.왜냐하면 숙업이란 우리 생명을 규정하고 우리 인생의 방향을 정하는 요인(要因)과 경향성을 말하며, 이 숙업에서 나쁜 것을 바꾸지 않고 인간은 행복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그러면 어떻게 하면 숙업 전환을 할 수 있을까. 그것을 알기 위해 어떻게 숙업이 형성되는지 언급할 필요가 있다.우리의 생명이 무엇으로 규정되는가 하면, 그것은 다름 아닌 자신이 지금까지 해 온 ‘행위(行爲)’라고 불법은 설한다. 그 행위를 ‘업(業)’이라고 한다.불법에서 말하는 ‘행위’는 신구의(身口薏) 삼업이라고 해 신 (신체적 동작, 행동), 구(언어 표현), 의(사고, 판단)에 걸친 행위가 그대로 생명 속에.. 2024. 9. 15. 이전 1 2 3 4 ··· 8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