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2096

의좌실(衣座室)의 삼궤(三軌)에서 배운다 의좌실(衣座室)의 삼궤(三軌)에서 배운다    의좌실(衣座室)의 삼궤(三軌)에서 배운다        이케다(池田) SGI회장은 《법화경의 지혜》에서 절복 홍교에 대해서 특별한힘 등은 없어도 된다. 묘법을 부르는 환희, 묘법을 말하는 환희에 타오르고 있는가가제일 중요한 것이다.그 환희의 신심에 의좌실(衣座室)의 삼궤(三軌)는 포함되는 것이다라고 말씀하시고 있다.대화의 가을  전국에서는 주야로 뜨거운 불법대화가 전개되어 헤아릴 수 없는소생의 드라마가 일어나고 있다. 대화만이 인간과 인간을 연결하여 서로를 촉발하고드높여 가는 방법 이외에는 없다.우리들의 용기 있는 대화의 규범을 의좌실의 삼궤를 통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법화경에 나타난 멸후의 홍교자세의좌실(衣座室)의 삼궤(三軌)는 약왕보살을 대표로 하는 팔만.. 2024. 7. 2.
창가의 대도에 무상의 인생이 창가의 대도에 무상의 인생이    창가의 대도에 무상의 인생이   - 광포야말로 명근(命根)보다도 아끼는 것이라고목숨걸고 어떤 일에 덤벼든다 목숨걸고 이루어 낸다 사람이 어떤 일에진지하게 덤벼들 때 흔히 입에 올리는 말이다.귀중한 목숨을 깎아 가며 어떤 일에 덤벼드는 것이니까 그 대상이 문제되는 것이다.그것의 가치기준을 무엇에 두느냐에 따라서 하나하나의 인생의 가치에는큰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불법의 근본은 현명한 삶의 방법에 추구 이를테면 어떤 사람이 계속 정치가로머무는데 목숨을 걸었다고 하자. 이러한 사람에 있어서는 정치가라는 입장이야말로무엇과도 비교 안 되는 무상의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어떤 사람은 오직재산을 쌓는 일에만 혈안이 돼있다. 재산을 무상의 것으로 하여목숨보다도 더한 것이라고 여기는.. 2024. 7. 2.
기원한다는 것은 어본존을 구하는 왕성한 마음 기원한다는 것은 어본존을 구하는 왕성한 마음   기원한다는 것은 어본존을 구하는 왕성한 마음 우리들은 일상의 인사 등에서 기원드립니다라는 말을 자주 쓴다.신앙을 가진 사람이라면 몰라도 아무런 신앙도 갖지 않은 사람도이러한 말을 하는 것은 기묘하다.대체 무엇에 기원한다는 것일까. 한편으론 우리들 자신의 인생에 있어서도기원할 수밖에 없다는 국면에 종종 부딪힌다.결국 기원이라는 행위는 가장 인간다운 모습이라고 생각한다.인간은 무엇에든 기원하지 않고는 견디지 못하는 존재이다.이 말은 기원이라는 행위는 다른 동물이 결코 흉내낼 수 없기 때문이다.태고의 옛날부터 인간의 필연적 행위 인간은 태고의 옛날부터 태양이나 별,혹은 인간의 지혜를 초월한 자연현상에 기원을 올려 왔다. 그것은 재해나불행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마음.. 2024. 7. 2.
어려운 성불의 길 어려운 성불의 길당토(唐土)에 천태산(天台山)이라고 하는 산에 용문(龍門)이라고 하는백장(百丈)의 폭포가 있는데, 이 폭포의 기슭에 이른 봄부터 오르려고 해서많은 물고기가 모여든다. 천만(千萬)에 하나라도 올라가게 되면용(龍)이 되느니라. 물고기가 용이 되려고 원하는 것은 백성(百姓)이승전(昇殿)을 원(願)하는 것과 같고 빈곤(貧困)한 자(者)가 재물(財物)을구(求)하는 것과 같으며, 부처가 되는 것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어서 1377쪽) 통해 중국 당나라 땅의 천태산이라는 산에 용문이라고 불리는 백장의 폭포가 있다.이 폭포 아래 이른 봄부터 많은 물고기가 모여서 오르려고 한다.만약 천만에 하나라도 올라가면 용이 될 수 있다. 물고기가 용이 되려고원하는 마음은 마치 백성이 궁전에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2024. 7. 2.
생활속에 불교철학 생활속에 불교철학우리생명에 나타나는 모든 육체적 현상과 이성.감정.의지등의정신적 현상은 육체와 정신의 두가지 관점에서 포착할 수있으면서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 유물론과 유심론 유물론자들은 측정 가능하고 만질 수 있는 육체적인 또는물질적인 세계만이 실재라고 주장 합니다. 반면 일부 종교계에서는 물질적인 것을 단순히 정신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고정신을 궁극의 실상으로 봅니다.니치렌 대성인 불교의 관점니치렌대성인 불교에서는 생명은 육체적인것과 정신적인 것이합쳐진 것으로 봅니다. 또한 모든 존재를 물질적이거나 정신적이든 또는 보이거나 보이지 않든- 남묘호렝게교라고 하는 궁극의우주의 법 또는 생명의 근원에서 비롯된 현상들로 간주합니다. 불법이란 1.우주와 생명의 본질을 파헤친 철학2.인격의 도야를 위한 실천.. 2024. 7. 2.
진정한 숙명전환은? 진정한 숙명전환은?‘운명을 바꿀 수 있을까?’ 니치렌 대성인 불법에서 본 숙명전환의 의미를새희망 신입회원과 나인재 여자부장의 대화에서 배워본다.새희망 신입회원 얼마 전에 친구들을 만났는데 다들 사는 게 어렵다며 난리예요. 아무리 열심히 해도 안 되는 사람은 안 된다면서요. 친구들 말처럼 정말 타고난운명은 바꿀 수 없는 걸까요? 나인재 여자부장 과연 그럴까요? 보통 사람들은 인간의 힘을 초월한 어떠한 힘을‘운명’이라고 부르면서 그 앞에서 체념하고 순응하는 경우가 있어요.그러나 그에 반해 불법에서는 인간의 힘으로 자신을 속박하는 숙명(운명)을 바꾸고미래를 개척할 수 있다고 해요. 그것을 바로 ‘숙명전환(宿命轉換)’이라고 하지요. 새희망 입회하고 나서 숙명전환이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어요. 정확히 무슨 말인가.. 2024. 7. 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