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2096

실천교학- 경애혁명과 신앙 실천교학> 경애혁명과 신앙  행 불행을 결정하는 일념의 역용 우리들은 행복을 찾아서 매일 생활을 하고 있다.그 가운데서 자신은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를어떻게 보고 있는 것일까. 똑같은 환경에 있으면서도 행복을 만끽하고 있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항상 불행이나 절망을 느끼는 사람이 있는 등 사람에 따라각기 다르다. 17세기 영국의 대시인(大詩人) 존 밀튼은 마음은그 자체가 자기의 장소(場所)로서 스스로가 지옥을 천국으로천국을 지옥으로 변하게 할 수가 있다고 적었다. 인간은 스스로의 의지(意志)로 지옥을 천국으로도 천국을지옥으로도 변화 시킬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밀튼의 말은불법과도 통하는 깊은 사색의 도달점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과보가 하나하나의 인식 이해에 차이를 어서(御書)에 아귀(餓鬼)는 항.. 2024. 7. 3.
열린마음이 이해와 공감을 낳는다 열린마음이 이해와 공감을 낳는다 현대사회는 인간과 사회를 분단하고 연대라든가 공화라는정신이 급속하게 상실되고 있다. 지금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은 인간과 인간을 연결하는서로간의 ‘신뢰’가 아닐까 생각한다.  불교는 본래 적극적으로 타인이나 지역, 사회와 서로연계할 것을 가르치고 있다. 우리들이 믿고 행하는 불법(佛法) 즉사회의 의의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자. 참된 삶의 방법을 추구한 석존 지금 사회는 지난 IMF 때보다 더 불황이 계속되고 있다.즉 냉엄한 현실 사회 속에서 본인의 행복을 구축하려고 할 때,환경과 자신의 관계성을 어떻게 파악하는가 하는시점이 필연적으로 요청된다. 불교는 본래 인간과 현실 사회에 밀접하게 관계하는 종교이다.불교를 ‘죽음(死)’이나 ‘죽은 후(死後)’에 대한 단순한‘일시적인 위.. 2024. 7. 3.
<입정안국론>과 민중불법 입정안국론>과 민중불법민중을 위해 당당하게 진실을 말하라!   7월 16일은 니치렌(日蓮) 대성인이 당시의 최고권력자인호조도키요리(北條時賴)에게 입정안국론>을 제출한 날이다.국주간효의 서(書)인 본서는“니치렌(日蓮) 대성인의 일대의화도(化導)는 입정안국론으로 시작해 입정안국론으로 끝난다”라는 말처럼 일생을 일관한 민중구제 근본정신이응축된 일서(一書)다. “말하지 않을 수가 없고, 두려워 하지 않을 수가 없느니라”(어서 17쪽)라고 사람들을 괴롭히는 마성의 본질을 폭로하지 않을 수 없다는 자비의 발로가 본서 전편에 넘친다.  본질을 모르는 위정자  대성인 재세 당시에는 천재지변이 끊이지 않고, 기근이빈발하고 역병이 만연했다. 본서 첫 머리에 있는“이를슬퍼하지 않는 자는 결코 한 사람도 없느니라”(어서 17.. 2024. 7. 3.
용 맹 정 진 의 실 천 용  맹  정  진  의     실  천 용기있는 신심이야말로 불도수행의 요체 각 신문의 신년호 사설 등에는 여러 가지의 주장을 거론하고 있는데,어떤 신문에서는 인간주의를 자유주의 국제주의와 함께 거론하고 있었다.그러나 니치렌대성인의 불법(佛法)은 원래가 인간주의의 법이었으며,그 길을 지향(志向)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전세계가 공감하고 있는 바이다.대성인의 불법이 세계 1백 28개국, 지역에 넓혀지고, 민중불법의 여명을알리는 동지들의 기쁨이 전세계에 울려 퍼지고 있는 것은 바로 이를 증명하고있는 것이며, 대성인의 불의불칙(佛意佛勅)을 받는 SGI의 평화세력으로서의존재는 한국을 비롯한 세계의 빛이 되고 있다.일찍이 해외의 저널리스트가 이케다SGI회장에게 학회 대발전의 이유를질문해 왔을 때, SGI회장.. 2024. 7. 3.
만나기 어려운 불법을 지니는 기쁨 만나기 어려운 불법을 지니는 기쁨 광포에 살아가는 무상의 나날을받기 어려운 인신을 얻은 우리들우리들이 사는 지구에는 무수한 생명이 여러 모습으로 살고 있다.조그마한 정원 하나를 봐도 그곳에 살고있는 생명체는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이런 가운데서 우리들은 사람으로서 태어난 것이다. 이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불전(佛典)에도 사람으로 태어난다고 하는 것은 3천년에 한차례밖에꽃피지 않는 우담화(優曇華)를 보는 것처럼 어려운 일이다(열반경 취의)고 설해져 있다.또한 니치렌(日蓮) 대성인도 인신(人身)은 받기 어려우니 손톱위의 흙(어서 1173쪽), 인신(人身)을 받기는 희귀한 일이니라(어서 902쪽)며 사람으로태어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거듭 교시해 주시고 있다.바로 우리들은 받기 어려운 인신을 얻어 사람으.. 2024. 7. 2.
생사를 지켜보는 불법의 지혜 四苦에서의 해방을 목표로 한 佛法생사를 지켜보는 불법의 지혜불교탄생의 원점은 무엇일까.그것은 누구나가 직면하지 않을 수 없는 생사(生死)를 해명하고 이고(苦)로부터 해방되는 것이었다. 이 일은 석존(釋尊) 출가의 동기라고전해 내려오고 있는 사문유관(四門遊觀)의 에피소드가 보여주고 있는 대로다.사문유관은 석존이 출가하기 이전 싯다르타 태자였을 때, 하루는 왕성의4대문 밖으로 놀러 나가려고 하는데 동문에서는 노인을, 남문에서는 병든 이를,서문에서는 죽은 이를 그리고 북문으로 나가려고 하였을 때에는 근엄하고위의를 갖춘 사문(沙門=출가자 出家者)을 보자 그 청정한 모습을 보고출가(出家)할 것을 결의했다고 하는 것이다.이것이 석존이 출가한 동기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생로병사(生老病死)라고 하는네 가지의 고, 즉 .. 2024. 7. 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