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2097

학회지도에서 배운다 학회지도에서 배운다 부처의 공덕은 근본적으로는 ‘생명력’이다. ‘끝까지 살아가는 힘’이다. 그 부처의 수명(생명력)이 실은 무량(無量)하다고 밝힌 것이 이다.우리들은 날마다 본존님으로부터 무량한 생명력을 받고 있다.공덕을 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본존님의 대공덕을 찬탄하면 할수록 내 생명도 더욱위광세력을 더해간다. 빛을 발해간다. 본존님에 대한 신심을 근본으로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기원하고,움직이고 말한다. 그 리듬 바른 반복이 내 생명과 생활을 ‘장수로’ ‘건강으로’ ‘행복으로’ 향하게 한다. 2024. 7. 4.
마음의 소중함 불법(佛法)은 ‘의정불이’라고 설한다.눈에는 보이지 않아도 우리들 생명의 작용이 환경이나주위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일념삼천의 법리에 의해전우주로까지 넓혀져 그 모든 힘이 우리들의 행복을 위해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이다.중요한 것은 우리들 순간순간의 생명, 다시 말하면 일념에 있다.대성인은 반복해서 ‘마음’의 소중함을 가르치시고 있다.시조 깅고에게 주신 편지에는 아무리 지력과 무력에 뛰어난무장이라도 그것만으로 인생의 승리자는 될 수 없다.중요한 것은 오저의 일념이 무엇에 목숨을 걸고, 무엇을 근본으로기원하는가에 있다고 설하시고 있다.(어서 1192쪽, 취의) “마음이야말로 소중하니라”라는 지남은 여러 가지 연에 분동하기쉬운 우리들의 일념을 정하는 것에 대한 소중함을 가르치시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묘법(妙.. 2024. 7. 4.
지도자료 대원에 살아감으로 다른 모든 소원이 이뤄지는 것입니다.도다(戶田) 선생님은 어느 회합에서 신심의 공덕이 가득찬체험발표를 듣고 기뻐하신 다음, “앞서 체험담과 같은공덕은 공덕에도 들어가지 못합니다. 내가 받은 대공덕을이 강당에 가득히 채운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불과 손가락하나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라고 하시며 더욱더대공덕을 받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대공덕을 전 학회원에게 한사람도 남김없이 똑같이실감하게 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그 자애를 절실히 느꼈습니다.그것을 위해서도 광선유포의 대원에 살아가라.그렇게 외치셨습니다. 광선유포를 위해 일함으로써대공덕을 받게 하려고 그렇게 말씀하신 것입니다. 광선유포를 위해 일하는 것은 다른 누구를 위해서라기보다‘자신을 위해서’입니다 2024. 7. 4.
기원 공덕을 받기 위해 분투해야 합니다. 선생님께서는 항상"여러분의 건강, 장수, 유복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라고 하십니다.그렇다면 건강, 장수, 유복하는 것이 선생님에게 응하는 길입니다."이렇게 행복해졌습니다! 그리고 모두를 행복하게 하겠습니다!" 라고 보고하면선생님께서는 대단히 기뻐하십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노고는 했으나변한 건 없다라고 하면 선생님은 슬퍼집니다. 지금은 선생님을 슬프게 하고 있습니다.선생님은 행복의 지도자, 광포의 지도자입니다. 공덕을 받지 못하는 신앙은 틀린 신앙입니다.타성과 의무로 되고 맙니다. 기아를 넣으면 "와!"하고 변합니다.어떤 반담이 달라진 것이 없음> 이란 노래를 만들었습니다. 이것을 "징징형 신심"이라고 합니다.열성으로 했어도 타성이면 변하지 않습니다. 타성이라고 깨닫고.. 2024. 7. 4.
아침의 승리가 곧 하루의 승리’라고 확신 아침의 승리가 곧 하루의 승리’라고 확신 시간혁명으로 승리인생을-‘아침의 승리가 곧 하루의 승리’라고 확신 마키구치 창가학회 초대 회장은 “나이에 상관없이 하루하루진보하는 사람이 청년이다”고 말했다.‘청년학회’를 구축하고자 새로운 결의로 출발한 지금, 한사람 한사람이발밑을 다지고 일과 가정, 학회에서 승리해야 한다. 그러려면 시간을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시간혁명’이 요구된다.젊은 회사원 사이에는 출근 전 아침 시간을 공부, 취미, 교류 등 자기개발에활용하는 ‘아침활동’이 성행하고 있다.아침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곧 시간혁명의 첫걸음이다.학회원의 경우 낭랑한 근행과 창제로 아침을 출발하는 것이다.성훈에 “조조(朝朝) 부처와 함께 일어나며 석석(夕夕) 부처와 함께 눕고시시(時時)로 성도(成道)하며 시시로 현본.. 2024. 7. 4.
심지란 오저의 일념이다. 심지(心志)란 오저의 일념이다.무엇을 생명에 걸고 있는가.무엇을 근본의 기원으로 살고 있는가 그것이 그 사람의 생명 근저의 모습이다.그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일단 유사시에는 나타난다.그 뿐만 아니라 평상시의 순간순간, 그 사람의 모든 것을 지배하고 인생을 결정짓는 것이  “심지”이다.화엄경에 『마음은 솜씨좋은 화가와 같다』라고 있다.마음은 명화가와 같이 모든 것을 자유자재로 그려낸다는 뜻이다.자기자신의 마음이야말로 자기 인생의 디자이너이고 화가이며 조각가이고 건축가이다.천태대사는 이 경문을 인용해서 일념삼천의 법문을 설했다.일념(마음)이 삼천의 제법으로 나타나는 것을 가르치기 위해 화가라는 구체적인 이미지를 이용했던 것이다.『심지(心志)』이다. 『일념(一念)』이다.그것은 희망이라고 해도 좋다... 2024. 7. 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