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2096

공 가 중(空假中)의 삼제(三諦) 공 가 중(空假中)의 삼제(三諦) 세 가지 각도에서 참된 모습을 관찰예리하고 유연한 올바른 견해를 명시 사물의 참된 모습, 전체의 모습을 올바르게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어려운 일입니다. 흔히 "근시안적(近視眼的)이다"든지 "색안경을끼고 보고 있다"고 말하는 적이 있습니다. 또 '우물 안 개구리'라는 등의 속담도 있습니다. 이러한 말도그것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겠지요.그런데 불법에서는 어떠한 입장에서 사물을 보고 있을까요.이 점에 대해 특히 '삼제론(三諦論)'을 들어해설해 보기로 하겠습니다..'삼제'의 '삼(三)'은 공(空), 가(假), 중(中)의 세 가지의입장을 말하는 것입니다. '제(諦)'는 자세하다, 분명하다, 분명히 밝힌다는 의미입니다.다시 말해 '삼제론'이란 공 가 중이라는 세 가지 입장에서예리하고도.. 2024. 6. 15.
6월14일 대성인 불법의 근본은 창제이다. 낭랑하게 제목을 부를때우리 흉중의 태양이 떠오른다. 힘이 넘친다. 자가 솟는다.환희가 솟아 오른다. 지혜가 밫난다. 제불 제천히 일제히움직이기 시작한다. 인생이 즐거워 진다. 이체동심의 마음이란 신심이다. 광포의 대원에마음을 맞추는 것이다. 거기에 개인의 숙명전환도포함된다. 화려한 환경이나 모습을 동경하거나 부러워하며얕은 허영에 좌우되는 사람은 어리석다.한 걸음 깊고 현명하게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방법을 간파해야 한다. 그 사람은 철학자다.따라서 늘 행복한 생명을 지닌 사람이다. 2024. 6. 15.
6뤌 13일 희 망학회원인 여러분이 희망에 넘쳐 건강하게 전진해 가신다면현재도 미래도 아무런 걱정이 없다. 인간이 건재하는 한법은 반드시 유포된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강해지는 것이다. 후재를 격려하고인재를 키우는 것이다. 여기에 최고의 가치창조가 있다. 2024. 6. 14.
‘원겸어업(願兼於業) ‘원겸어업(願兼於業)지용의 대원에 살아라! 말법(末法)에 태어난 ‘지용의 보살’인 우리들은범부의 모습인 채로 묘법을 홍교해 가는 사명을갖고 있다. 갖가지의 고뇌도 중생을 자애(慈愛)하고불쌍히 여기기 때문에 번뇌에 가득 차고 고뇌가넘치는 세계에 원해서 태어난 것이다.이 일을 중국의 묘락대사는 에서 ‘원겸어업(願兼於業)’(원업을 겸함)이라고설하고 있다. 중생을 구제하려고 하는 원(願)의힘에 의해 악세(惡世)에 태어나서 묘법을 넓힌다고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민중을 구한다는책임감, 자비 때문에 원해서 가지는숙명이고 고뇌라는 것이다.바꾸어 말하면 ‘원겸어업’은 일념(一念)의 전환을가르쳐주고 있는 것이다. 즉 ‘숙명’을 ‘사명’으로바꾸어 가는 삶의 태도이다.이케다(池田) SGI회장은 에서“자기가 세운 서원.. 2024. 6. 14.
무소외(無所畏)-강한 확신과 용기의 대화 무소외(無所畏)-강한 확신과 용기의 대화 초창기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창가학회(創價學會)는‘대화(對話)’에 의해서 발전했다. 때로는 우리들을 이해하지못해 비난중상을 퍼붓는 일이 있어도 역대 회장을 중심으로회원 한사람 한사람이 조금도 흔들림 없이 쉬지 않고 하는 ‘용기의 대화’ ‘대확신의 한마디’가 세계 1백85개국에불법(佛法)을 유포(流布)시켰다.대화에 의한 용기 있는 홍교의 모습이야말로 불교에서 설해지는 ‘보살의 거동’ 바로 그것이다.대지도론(大智度論)에서는 부처 보살이 대중들 속에 있으면서두려워하지 않고 설법에 임하는 용맹스러우면서 안온한 덕을갖추고 있는 것을 논하고 있다.이것을 ‘무소외(無所畏)’ 또는 ‘무외(無畏)’라고 한다. 여기서는이 ‘보살의 4가지 무소외’를 소개한다.(1) 보살은 부처의 일.. 2024. 6. 14.
투쟁견고-평화를 위한 싸움을 투쟁견고-평화를 위한 싸움을 잔학(殘虐)한 범죄가 그치지 않고 있다. 세상이 불안하고뒤숭숭하게 되었다는 한탄의 소리’가 자주 들린다.사람들의 생명이 보장되지 못하고 마음이 흐트러져서 흉악한사회로 되어 가는 것이 말법(末法)의 특징적 모습의 하나다. 이것을 표현한 것이 ‘투쟁견고(鬪諍堅固)’라는 것이다.석존(釋尊)은 대집경(大集經)에서 자신의 멸후(滅後)의 시대를5백년씩 구분하면서 불법(佛法)과 사회의 변천을 예언했다.그 다섯번째 5백년의 시대가 ‘투쟁견고’라는 것으로 불교의가르침에 대해서 언쟁이 크게 일어나 석가불법의 효력이 없어지기때문에 삼독(三毒)이 강성한 중생들만으로 된다는 것이다.그 시기는 말법의 초기, 11세기 중엽쯤에서 5백년간이라고 보는데넓게는 그 이후의 말법에 통하고 있다.사상계(思想界)에.. 2024. 6. 1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