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기쉬운 교학

종(種)‘숙(熟)·탈(脫)’

by 행복철학자 2024. 6. 15.
728x90
반응형
SMALL

종숙탈-깨달을 때가 온다고 확신하고

 




 

불법(佛法)에서는 벼의 씨를 뿌려 키워서 수확하는 과정을

비유해서 중생이 성불하는 과정을 알기 쉽게 기술하고 있다.


성불의 인(因)으로 되는 법을 처음으로 설해서 들려주는 것을

하종(下種)이라 하고, 불법을 신앙하고 이해하는 힘이 증대되어

가도록 조정하는 것을 씨를 생육(生育)하여 익히는 것에 비유해

‘조숙(調熟)’이라 하고, 최종적으로 깨달음(=해탈)을 얻게 하는

것을 수확에 비유해서 ‘득탈(得脫)’이라 표현한다.


석존(釋尊)의 불법은 과거에 하종된 사람들을 조숙해서 득탈시키는

데에 매우 유효했다. 그런데 말법(末法)의 중생은 석존 불법과는

연이 없고, 선근(善根)을 쌓고 있지 않아서 석존의 불법으로는

이익이 없는 것이다. 처음부터 성불의 종자를 심어야만 한다.


니치렌(日蓮) 대성인은 이같은 말법의 중생을 위해 성불의 종자인

근원의 법,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하종의 법체’로 하여

나타내셨다.


이 대성인의 ‘하종익의 불법’은 ‘숙(熟)·탈(脫)’의 이익을 모두 지니고

있고, 단지 성불의 인으로 되는 것만이 아니라 곧 성불의 경계로

도달하게 한다는 작용이 갖추어져 있다.


 우리들이 니치렌 불법의 놀라움을 벗에게 말하는 것은 ‘하종’을

행하고 있는 것이다.


상대가 믿든 안믿든 관계없이 법을 설해 들려주는 것을

‘문법하종’이라 말하고, 그 가운데 신심수행의 마음을 일으키는

것을 ‘발심하종’이라 말한다.

 

정법을 설해 들려준 ‘문법하종’의 공덕은 설령 그 상대가 입신을

하지 않았다 해도, 입신을 결의한 경우의 ‘발심하종’의 공덕과

마찬가지다.


이케다(池田) SGI회장은 “‘부처’가 되는 ‘종자’를 벗의 ‘마음의 밭’에

심는 것이기 때문에 언젠가는 반드시 ‘신심’이 싹트는 것을 확신하고,

넓은 마음으로 초조해 하지 말고 유유히 착실하게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기원해 가기 바랍니다”라고 스피치 한 바 있다.

또한 어서에는 “삼세시방(三世十方)의 부처는 반드시

묘호렌게쿄(妙法蓮華經)의 오자(五字)를 종(種)으로 해서
부처가 되시었다”(어서 1072쪽)라고 있다.

벗의 행복을 기원하면 반드시 묘법(妙法)을 깨달을 때가 온다고

확신하고, 우호 확대의 노력을 착실하게 지속했으면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알기쉬운 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방비니(隨方毘尼)  (1) 2024.06.15
수자의(隨自意)  (0) 2024.06.15
경지명합(境智冥合)  (1) 2024.06.15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0) 2024.06.15
석존의 문제제기(四苦八苦)  (1)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