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2097

18. 생명의 본질을 파헤치다. 18.생명의 본질을 파헤치다.(생명의 본체와 작용) ‘제법실상’이란, ‘온갖 현상의 진실 그대로의 모습’이라고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실상'의 내용을 밝힌 것이다음에 이어지는 십여시이다. 먼저 십여시 각각의 의미를 간단하게 말하면다음과 같다. 여시상 = 외견상의 모습여시성 = 내적인 성질여시체 = 여시상 • 여시성을 합친 전체여시력 = 잠재적인 힘여시작 = 힘이 외부로 작용하는 작용여시인 = 사물(事物)이 일어나는 직접적인 원인여시연 = 인(因)을 돕는 간접적인 원인과 조건여시과 = 인(因)과 연(緣)으로 생기는 결과여시보 = 결과가 사실이 되어 외부로 나타나는 것여시본말구경등 첫째의 상(相)에서 아홉째의보(報)까지  서로 관계하여 일관하고 있는 것 이 가운데 상 • 성 • 체의 삼여시는 제법의 ‘본체.. 2024. 6. 7.
19. 사물을 보고 판단하는 생명에도 차별이 있다. 19.사물을 보고 판단하는 생명에도 차별이 있다. 불법(佛法)은, 인간의 경애에 따라 오안(五眼:다섯가지의 눈)으로 차별이 있다고 본다. 육안(肉眼-일반적인 눈이나 시력), 천안(天眼- 미세한 사물도 멀리서 볼 수 있고 미래의 삶과 죽음까지도 볼 수 있다는 눈이다.), 혜안(慧眼-사물을 꿰뚫어 보는 지혜로운 눈),  법안(法眼-. 일체 법(法)을 분명하게 비춰 보는 눈을 이른다.), 불안(佛眼-모든 법의 진상(眞相)을 환하게 보는 부처의  눈을 이른다.))이 있다고 설한다. 보살과 불계의 눈인 법안 * 불안으로 모든 것을 보는 것이 '제법실상'의 지혜이다.물론 '본다'는 것은 하나의 예이며, '듣는다'는 것도'냄새를 맡는다'는 것도, '맛본다'는 것도 '만진다''느낀다'는 것도 모두 '진실 그대로'가 아.. 2024. 6. 7.
20. 생명의 특질 20. 생명의 특질 삼세간(三世間) 불법 구극의 철리인 일념삼천의 법문은 십계호구,십여시, 삼세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 가운데 삼세간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삼세간이란 오음세간, 중생세간, 국토세간 세 가지의차별을 말합니다.여기서 말하는 세간이란 일반적으로말하는 세상 사회라는 뜻이 아닙니다. 세간이란 차별(구별)이란 뜻입니다.물론 이 차별이란 사회적인 차별이라든가인종차별 등의 차별이 아닙니다. 각 생명체의 특질을 나타내는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첫째 오음세간을 설명하겠습니다.오음이란 색(色),수(受), 상(想), 행(行), 식(識)의 다섯 가지를 말합니다.개개인에 따라 오음에 차별이 있으므로 오음세간이라 합니다. 색(色)이란 색형, 다시 말해 인간으로 말하면 육체에해당합니다. 수(受)란 받.. 2024. 6. 7.
21. 생명의 의식 세계를 해부해 본다. 21.생명의 의식 세계를 해부해 본다 사람들은 누구나 항상 기쁘고 희망적이고 행복한삶을 살고 싶어 합니다. 무지개 저 너머 어딘가에 있을것 같은 ‘이상적인삶’을 꿈꾸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그 이상적인 삶이라는 것은 무지개 너머도아니고, 천국도  극락도 천당도 이상향도 아니고바로 자신의 마음속에 있다는 명심해야 합니다. 불법은 나의 흉중, 즉 인간생명의 내부의 세계에빛을 비추어 거기에 빛나고 있는 경애를 열어나타내는 것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불법의 눈은 생명을 깊이 분석하여 그 오저에‘불계’라는 아름답게 빛나는 세계가 있다는 것을발견했는데,그것이 ‘아홉가지 의식’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사물의 내면 보다는 눈에 보이는 모습으로판단하곤 합니다. 그러나 겉모습의 초라함이나 화려함에 상관없이우리들의 마음.. 2024. 6. 7.
22. 생명의 버릇(업)에 대하여 22. 업(業)에 대하여1,업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모든 일이 생각처럼 순조롭게 돌아가지않아서 조바심이 날 때에,화가치밀어 속이 끊는다, 그 밖에도 업화(業火) 업병 등 일상에서 業이 붙는말을 많이 사용하는데 우리들은 佛法을 실천함에있어서 업에 관한 생각을 바르게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업이란 범어로는 카르마(karma)라고 하는데행위를 의미한다예를 들면 타인에게 상처를 입힌 경우그 행위 자체는 일순간이지만상처를 입은 사람의 악감정 등은 남아서나중에 반드시 고통스럽게 된다 이처럼 업이란 행위를 말하며 그 행위는먼 훗날까지 영향을 미친다 2, 業의 종류 1,신구의(身口意) 三業 업에는 因이란 면과 과보라는 양면이 있는데 業因이 되는 행위는 다음과 같다신업(身業) 신체에 의한 행위구업(口業) 언어에 의한 .. 2024. 6. 7.
23. 생명과 병의 관계 23. 생명과 병의 관계 병의 원인에 관해 천태 대사의 마하지관>을 인용하면  '일(一)에는 4대(지.수.화.풍)가 불순하므로 병듦. 이(二)에는 음식이 부절(不節)하므로 병듦. 삼(三)에는 좌선(坐禪)이 부조(不調)하므로 병듦. 사(四)에는 귀(鬼)가 득편(得便)함. 오(五)에는 마(魔)의 소위. 육(六)에는 업(業)이 일어나므로 병든다 제1의 "사대가 불순하므로"의 사대는 지(地), 수(水),화(火), 풍(風)을 말한다.  동양 사상에서는 대 자연도, 인간의 신체를 포함한 우주 만물도흙.물.(불)온도.바람(에너지) 구성되어 있다고가르친다. "사대가 불순하므로 병듦"은 기후가 불순하거나 대자연의조화가 깨지면 인간의 신체에 커다란 영향을 끼쳐여러 가지의 병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땅에서 오는.. 2024. 6. 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