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2097

1-5 행복을 여는 여섯 가지 열쇠 1-5 행복을 여는 여섯 가지 열쇠 이 절(節)에서는 ‘상대적 행복’과 ‘절대적 행복’의 행복관을 바탕으로 행복을 여는열쇠가 되는 구체적인 핵심 여섯 가지를 제시 합니다.​첫째는 ‘충실’, 둘째는 ‘깊은 철학을 지니는 것’, 셋째는 ‘신념을 지니는 것’,넷째는 ‘명랑하게’ 생기발랄할 것, 다섯째는 ‘용기’, 여섯째는 ‘포용력’입니다.​결국은 이 모든 것도 ‘신심’이라는 두 글자에 모두 포함되고, 신심에 꿋꿋이 사는인생이 바로 ‘최고로 행복한 인생’이라고 강조합니다. SGI 총회 스피치에서 1996년 6월 23일, 도쿄​니치렌대성인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일생을 헛되이 보내고 만세(萬歲)에후회하는 일 없을지어다.”(어서 970쪽)즉 “일생을 헛되이 보내고 만년 동안 후회하면 안 된다.”​인생을 어떻게 .. 2024. 11. 5.
제2장 생명변혁의 원리 제2장 생명변혁의 원리 이 장을 읽기 전에 우리가 추구해야 할 ‘절대적 행복’은 어떻게 해야 실현할 수 있을까요? 절대적 행복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이케다(池田) SGI 회장은 불법(佛法)의 법리(法理)를 바탕으로 자신의내적인 ‘생명’을 변혁해야 비로소 절대적 행복을 실현할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우리의 생명은 선(善)의 방향으로도 악(惡)의 방향으로도 또 행복으로도 불행으로도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고뇌의 늪에 바지기도 하는가 하면욕망이나 본능에 휩싸이기도 합니다. 인간답게 온화한 상태로 있을 때도있는가 하면 힘들어하는 사람을 가엾게 여겨 손을 내밀 때도 있습니다.​불법은 생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탐구하고, 거기에 십계(十界)라는 열 가지경애(境涯)가 존재한다는 점.. 2024. 11. 5.
2-1 마음은 ‘지옥’도 ‘천국’으로 바꾼다 2-1 마음은 ‘지옥’도 ‘천국’으로 바꾼다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어떻게 보느냐. 그것은 그 사람의 생명경애로 결정됩니다.이 절(節)에서는 니치렌대성인불법이 자신의 생명경애를 높이고 자신을 둘러싼환경을 바꾸어 현실에서 확고한 인생의 행복과 사회 번영을 이룩해 국토까지전환할 수 있는 대법임을 밝힙니다. 존 밀턴(1608년-1674년)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마음은 하나의 독자적인 세계다.지옥을 천국으로 바꾸고 천국을 지옥으로 바꿀 수 있다.”()밀턴은 셰익스피어와 함께 칭송받는 17세기 영국의 대시인입니다. 자신의 마음이 ‘지옥’을 ‘천국’으로 또 ‘천국’을 ‘지옥’으로 바꿀 수 있다는밀턴의 이 말은 불법의 일념삼천(一念三千)이라는 법리와도 통하며 밀턴이깊은 사색 끝에 도달한 한 가지 결론이라 할 수 있습.. 2024. 11. 5.
2-2 불계는 고뇌에 찬 현실을 비추태양 2-2 불계는 고뇌에 찬 현실을 비추는 태양 이 절에서는 ‘불법의 생명론’의 기본인 십계와 십계호구를 간결하게 설명하고니치렌대성인불법이 불계라는 가장 존귀한 생명을 모든 사람이 나타낼 수 있도록어본존을 믿고 신심을 수행하는 현실적인 방법을 확립했다고 밝힙니다. 매 순간 흘러가는 생명에는 크게 열 가지 범주가 있습니다. 불법은 이것을 ‘십계’로파악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리 생명에는 ‘육도(六道)’ 즉 ‘지옥계’ ‘아귀계’‘축생계’ ‘수라계’ ‘인계’ ‘천계’라는 경애가 있습니다.  그리고 ‘사성(四聖)’ 즉 ‘성문’‘연각’ ‘보살’ ‘불’이라는 더 고차원의 경애가 있습니다. 생명의 실상(實相)은 엄연히이 범주를 지니고 있습니다.​십계의 생명 중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어느 한 가지 생명은 고정된 것이 .. 2024. 11. 5.
2-3 생명의 기저부를 ‘불계’로 2-3 생명의 기저부를 ‘불계’로 이 절에서는 십계호구의 법리를 바탕으로 생명의 기저부라는 사고방식을 밝힙니다.생명에는 저마다 과거의 행위가 쌓여 만들어진 기저부가 되는 경애가 있습니다.  ‘성불’은 이 기저부를 ‘불계’로 변혁하는 일입니다. 기저부를 불계로 변혁할 수 있어도현실에서 구계의 고뇌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단지 어떠한 고뇌가 닥쳐도 생명 근저에서 불계의 자비와 희망 그리고 환희가 넘쳐 나게 됩니다.  니치렌대성인이 에서 법화경의 “내가 본래 보살도(菩薩道)를 행하여 성취(成就)한 바의 수명(壽命)은지금도 아직 다하지 않았다.” 등의 글월을 인용하며 “불계소구(佛界所具)의 구계이니라.”(어서 240쪽) 하고 말씀하셨는데 이것의 실천적인 모습은 불계를 기저부로한 삶의 자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 2024. 11. 5.
2-4 ‘십계’의 생명을 나타낸 어본존 2-4 ‘십계’의 생명을 나타낸 어본존 니치렌대성인이 도현하신 어본존에는 우주와 생명 궁극의 법인 남묘호렌게쿄를중심으로 십계의 생명을 대표하는 것들이 씌어 있습니다. 이 절에서는 우리가어본존을 향해 근행창제할 때 어본존에 나타나 있는 대로 자신에게 내재된 십계의생명이 묘법을 근본으로 선의 방향, 행복의 방향, 성불의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힙니다. ‘본존(本尊)’에는 ‘근본존경(根本尊敬)’의 의의가 있습니다. 본존은 인생과 생명의근본으로 삼아 존경하고 귀의(歸依)하는 대상입니다. 그러므로 무엇을 본존으로하는가로 인생이 근본적으로 결정됩니다. 지금까지 불교의 본존은 거의 불상입니다. 또는 불화(佛畵)인 경우도 있습니다. 불교 초창기에는 불상이 없었는데 후세 서방(西方)의 그리스 문화에서 영향을 받아서북.. 2024. 11. 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