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妙法蓮華經의 구성
무량의경 제2 설법품 사십여년(四十餘年) 미현진실
(未顯眞實)
40여 년 동안 진실을 나타내지 아니하였느니라.
(그러나 현재 기성불교들은 석존이 버리라고한 말씀을 무시하고
아직도 염불을부르며 목탁을 치고 선을 행하고 율종을 따르면
선종이라 칭하며 버리지 못하고그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이
대다수 스님들이다. 이들도 대집경에 나와있는법화경 이외의
가르침은 방편이며 힘이 없으니 따르지 말고 버리라는 내용을
누구보다 잘알고 있다) (석가세존의 말씀을 따르지 않는
종파는 화엄종 조계종 법상종 선종 율종 염불종원불교.정토종.
진언종.구사종.성실종.진종.삼론종.등 대다수의 종파들이다)
묘법연화경의 구성 및 중요 법문
제1 서품 불가사의한 서상이 일어남
제2 방편품 제법실상ㆍ십여시, 개시오입
이신득입, 이신대혜
제3 비유품 사리불에게 수기함 (법설주) ,
삼거화택의 비유 (개삼현일)
제4 신해품 4대성문 《가섭, 가전연, 수보리,
목건련》이 깨달음을 비유로 답함
장자궁자의 비유 (무상보취 불구자득)
제5 약초유품 석존이 깨달음이 올바르다고
다시 비유로 말함 삼초이목의 비유
제6 수기품 4대성문에게 수기함 (비설주)
제7 화성유품 부루나 등의 오백제자에게
과거 대통지승불 시대 의 자신과의 인연을
상기시킴 화성보처의 비유
제8 오백제자수기품 오백제자가 깨달음을
비유로 답함 의리주의 비유
오백제자에게 수기함 (인연주)
제9 수학무학인기품 아난, 나후라 등
학ㆍ무학인 2천명의 성문에게 수기함
제10 법사품 약왕보살, 8만의 보살에게
법화경을 홍통하도록 권유
미래에 법화경을 수지하는 사람 모두에게
수기함 (일체중생의 성불을 약속)
제11 견보탑품 칠보로 장식된 보탑이
대지에서 출현, 삼변토전, 삼개의 칙선
<멸후에 법화경을 홍통하도록 명령 >
육난구이
제12 제바달다품 석존과 제바달다의
인연ㆍ수기(악인성불),
용녀의 성불 (일체의 여인의 성불)
제13 권지품 석존의 제자들이 부처
멸후에 법화경 홍통을 결의
20행의 게(삼류의 강적) (성문의 제자
-타토에서 홍통, 80만억나유타의 보살
- 사바에서 홍통)
제14 안락행품 안락하게 법을 설하는
방식 (섭수행) 법화경의 적문은
제1 서품에서 제14 안락행품까지입니다.
제15 종지용출품 대지에서 말법 악세의
법화경 홍통의 사명을 가진 지용의
보살이 등장 - 석존은 이들을 자신의
본래의 제자라고 소개 (약개근현원)
미륵보살의 동집생의
제16 여래수량품 :석존의 발적현본
-‘구원실성’이 설해짐
(삼묘합론 :본인묘, 본과묘, 본국토묘)
양의병자의 비유
제17 분별공덕품 - 수량품을 믿는 이가
받는 공덕을 분별하여 설함
제18 수희공덕품 -법화경을 듣고
환희하는 이가 받는 공덕을 설함
제19 법사공덕품 - 법화경을 수행하는
법사가 받는 공덕을 설함 오종법사
(법화경의 법문을 수지, 독, 송, 해설,
서사하는 사람)
제20 상불경보살품 고난에 맞서서 법을
설하는 방식 (절복행) 상불경보살 이야기
24문자의 법화경
제21 여래신력품 부처의 일체의
법을 4구로 묶어서
상행보살에게 부촉함 (미래의 부처)
(결요부촉, 별부촉)
제22 촉루품 타방에서 온 보살이나
적화의 보살에게도 법화경을 부촉함
(총부촉)
여기서 허공회의 의식은 끝이 나고
영추산 위에서의 설법이 계속됩니다
제23 약왕보살본사품 - 석존은
약왕보살이 과거에 자신의
팔꿈치를 태워 공양한 사실을
말하고, 법화경의 공덕을 찬탄
제24 묘음보살 묘음보살이 과거에
노래와 춤, 악기를 공양 한 사실을
말하고 묘음보살이 34가지 몸을 바꾸어
법화경을 설한다고 함 묘음보살이
34가지 몸을 바꾸어 법화경을
설한다고 함
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 : 서방의
관세음보살이 33가지 몸을 바꾸어
일체중생을 구제한다고 설함
제26 다라니품 제천선신(약왕보살
ㆍ용시보살, 지국천왕ㆍ
비사문천왕, 십나찰녀등)이 법화경의
행자를 수호한다고 석존 앞에서 맹세함.
제27 묘장엄왕본사품 - 외도의
가침에 빠져있던 묘장엄왕을 정법으로
인도하기 위해 정덕부인, 정장ㆍ정안
두 형제가 신통력(인간혁명, 현증을
상징)으로 아버지에게 환희를 느끼게 하여
부처에게 귀의하게 함 선지식의
중요성이 나옴.
제28 보현보살권발품 : 보현보살이
멸후에 법화경을 어떻게 수지해야
하는가를 질문하여 석존이 4가지
법으로 요약하여 다시 설함
(재연법화, 再演法華)
법화경의 행자를 수호할 것을 맹세함.
여기까지가 법화경의 설법 및
의식의 끝이며 대중은 환희하여
영추산을 떠납니다
법화경 제15 종지용출품부터
제28 보현보살권발품까지
법화경의 본문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법화경 28품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화경의 대의 (27) | 2024.07.23 |
---|---|
법화경 적문의 핵심 사상 (2) | 2024.07.23 |
제1. 서품(序品) (27) | 2024.07.23 |
방편품(方便品)이란 (0) | 2024.07.23 |
법화경 방편품 강의 (4) | 202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