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서에 나오는 불교설화

묘음보살

by 행복철학자 2024. 8. 10.
728x90
반응형
SMALL

 

묘음보살

법화경의 회좌(會座)에는 묘음보살이 등장한다.

(<묘음보살품 제24>)

이 묘음보살은 고뇌가 소용돌이치는 사바세계에 내려와

묘한 ‘천(天)의 곡’ ‘천의 노래’를 연주하면서 사람들에게

끝없는 희망과 용기를 준다.

묘음보살은 참으로 훌륭한 보살이었다.

지혜는 한없이 깊고 무량백천(無量百千)의 공덕과 위덕(威德)이

넘치고, 그 신념의 대경애는 흔들리지 않았다. 모습은

형용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웠고 굉장한 생명의 빛을 발했다.

어떻게 묘음보살은 이러한 자유자재의 힘을 쟁취할 수 있었을까.

석존은 설한다.

“묘음보살은 과거세에 부처에게 10만 종류의 기악(妓樂: 무용과 음악)과

8만4천의 보배의 바리때를 공양했기 때문입니다”라고.

니치렌(日蓮) 대성인은 <어의구전>에서 불법(佛法)

생명론의 입장에서 이 ‘8만4천’이란 예컨대 “8만4천의

진로(塵勞)”(어서 775쪽)라고 가르치신다.

인생에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노고가 있다. 그러나 묘법을

부르고 사람들을 위해, 광선유포를 위해 진력하면 그것이 전부

무량무변의 지혜와 공덕으로 빛난다. 이것이 불법의

중대한 인과이법(因果理法)이다.

728x90
반응형
LIST

'어서에 나오는 불교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견수(好堅樹)와 빈가(頻伽)  (0) 2024.08.10
대등명(大燈明)  (0) 2024.08.10
백마의 울음소리와 윤타  (0) 2024.08.10
주공단  (0) 2024.08.10
구포연(九包淵)  (0)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