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대 선생님 지도

지도주의(指導主義)

by 행복철학자 2024. 7. 13.
728x90
반응형
SMALL

 

지도주의(指導主義)

 

신앙의 지도에 있어서 명심해야 할 것은 너무 열심인 나머지 신경질이

되거나 비장감을 갖거나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자기의 인생의 환희를 느끼고 느긋하게 공덕을 확신하면서

지도에 임해 주기 바란다. 꾸짖는 것이 지도는 아니다.

 

납득시키는 것이 지도인 것이다. 또한 명령, 지시가 지도는 아니며

사실의 힘으로 인도하는 것이 지도이다. 자기의 지도가 그 사람의 일생을

좌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자기의 감정이나 자기가

모르는 것을 강요하는 것은 금물이다.

 

 다만 묘법을 근본으로

신심근본으로 해 나아가면 결코 틀림이 없다. 명쾌(明快)한 지도(指導)

명쾌한 지도에 대해서는 우에노전답서(上野殿答書)에 이와 같은 말씀이 있다.

사람이 무엇을 가르친다고 하는 것은 수레가 무겁지만 기름을 칠해서 돌게 하고,

배를 물위에 띄워서 가기 쉽게 하는 것처럼 가르치는 것이니라

(어서 1574) 사람들을 지도하는 방법이라는 것은 차()바퀴의

회전이 무거우면 기름을 치고,

무거운 배라도 물위에 띄어서 가면 얼마든지 운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을 괴롭히는 지도가 아니라 발고여락(拔苦與樂)의 경문에 있듯이

즐거움을 주고 괴로움을 제거하는 것이다. ! 신심은 이렇게 즐거운 것인가

조직활동(組織活動)은 이렇게 보람이 있는 것인가 

신심즉 생활(信心卽生活)이라는 것을 어서(御書)의 지도로 깊이 알았다

. 고뇌에 빠진 회원이 가능한 한 과연 그렇구나라고 안도하는 마음으로

신심즉생활, 광선유포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해주는 것이 진실한 지도이다.

 

 문제를 복잡하게 해서는 안된다. 신심이 싫어지는 지도를 해서는 안된다.

명쾌한 지도로 알기 쉽게 대화하고, 상대를 안심시키고 즐겁게 하여

신심(身心)을 가볍게 해 나아가는 그러한 방법의 지도를 잊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사생활(私生活)여기서 리더로서 유의해야 할 일이 있다.

그것은 고민하고 있는 동지가 의논하러 왔을 때, 리더는 그 사람의 인격,

인권을 존중하고, 그 내용을 남에게 누설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 사람의 사생활을 아는 체 하고, 만약 남에게 경솔하게 말하면,

신뢰성(信賴性)을 잃고 간부로서 실격자(失格者)로 되고 만다.

 

이것은 어느 나라에 있어서도 리더의 조건으로서 엄수(嚴守)해야 한다.

간부의 입장에 있는 지도자 여러분은 많은 회원이 안심하고 무엇이든 말하고,

무엇이든 의논할 수 있는 자애(慈愛)가 있어야 한다. 만의 하나라도

사람을 내려다 보는 일이 있어서는 절대로 안된다. 또한 그 사람의

사생활(私生活)을 결코 입 밖으로 내서는 안된다. 어쨌든 남에게

신뢰를 받고 의고의탁(依枯依託)존재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라고 한다.

 

사소한 언동(言動)으로 자신(自信)을 잃거나 사라져 버리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대수롭지 않은 격려의 언동에서 용기를 갖고 소생하여 일생을

장식하는 사람도 많다. 간부는 명심해서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생명 문제에 관계되는 신심의 지도자로서 긍지와 책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개인지도(個人指導)의 유의점(留意点)

 

1. 상대의 행복을 기원한다. 개인지도시에 유의해야 할 점을 묻고 싶습니다.

아오키(청목(靑木))부회장 : 가장 중요한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상대의

행복을 기원하는 것입니다. 그 일념(一念)이 얼마나 강()한가 입니다. 개인지도를 해서

이쪽의 말이 통하는가는 마음이 통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진정으로 생각하면 상대는

마음을 열어 옵니다. 그렇지 않고서는 이쪽의 말은 통하지 않습니다.

 

2. 상대에게 호의(好意)를 갖는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상대의 마음이

열립니까. 아오키 : 우선 상대에게 호의를 갖는 것이 아닌까요.

 이 사람은 조금도 하지 않으니 별도리가 없군이라고 생각하면 일어설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조직을 강하게 해서 成果를 올리자고 자기의 형편에 맞추려고 하면

상대는 마음을 열지 않는다. 상대를 생각하는 일념(一念)이 중요합니다. 비판적인

사람도, 불평이 많은 사람도 이 사람도 소중한 불자(佛者)이니

행복하게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없으면 상대는 마음을 열지 않는다.

 

3. 공통점(共通點)을 찾아낸다. 아직 활동에 적극성이 없는

사람을 만나러 가므로 우선 환영받지는 못한다.

그런 상황하에서 상대를 어떻게 하면 일어서게 할 것인가. 

첫째로 상대와 어떤 공통점을 찾는 것이 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출생지(出生地), 취미(趣味) 등의 공

통점이 발견됐을 때는 비교적 마음이 통하기가 쉽습니다.

그런 것을 염원(念願)에 둔 대화, 상대가 기분 좋은 마음으로

말할 수 잇는 대화를 지향해야 합니다.

 

 인간에게 있어서 무엇이 기분 좋은 대화일까. 예를 들면 과거에 열심히 했던

사람이면 그때의 이야기를 물어봅니다. 입신동기(入信動機)

물어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그것을 이야기하게 하여 당시를 상기시켜 신심을 분기(糞起)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4. 장점을 찾고 가장 잘 하는 것을 묻는다. 

그런 것이 없을 때, 그 사람이 가장 잘 하는 것을 묻는다.

 

상대의 사업이나 생활상에서의 성공담 혹은

고심담(苦心談)을 질문한다. 그런 대화 속에서 이야기는 활기를 띠고,

상대의 현재의 생활, 고뇌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의 장점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런 일념으로 여러가지 대화를 하는 가운데 상대의 장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것을 칭찬하면 상대방을 자기에게 호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물론 이것은 단순한 겉치레가 아니라, 상대의 장점을 발견해서 이것을

어떻게 광포를 위해서 살려 나아갈 것인가 라는

일념에서 나온 것이 아니면 안됩니다.

 

결실있는 개인지도로  3개의 포인트

 

남의 이야기를 잘 듣는다 지도는 듣는 것부터 시작된다고 합니다.

이야기를 잘 듣지 않으면 무슨 이야기를 들었는지 판단이 서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인식도 하기 전에 이런 것이 아닐까 하고 지레짐작하여

지도를 해도 그것은 초점이 어긋난 말이 되어 도리어 혼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또한 고뇌의 내용이 단순하지 않아서 가정불화와 경제고, 병과 경제고 등

몇 가지 요소가 서로 엉켜 어떻게 하면 좋을지 분별하지 못해서 고민하고 있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고민을 정리하고 근본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를 명확하게 한 다음에 지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화시간이

가령 1시간이라 하면 그 중의 40분을 상대의 말을 듣는

시간으로 배정하는 그 정도의 배려를 함으로써 비로소 고뇌의 원인이

확실해 지며 뜻밖에 본인 자신의 입으로 그 해결법을 말하게 되는 것입니다.

더구나 차분히 들어주는 가운데 상담하러 온 본인이당신은 잘 들어주셨습니다.

 

오늘부터 반성해서 다시 한번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

스스로 발심하게 되는 것입니다. 진심으로 상대의 이야기에 끈질기고

 차분하게 귀를 기울이는 것이 개인지도의 중요한 점입니다.

 

신심의 지도학회는 지도주의이다. 요컨대

<어본존을 믿읍시다>라고 어본존을

지적해 나아가는 것이지도이다 이것이 학회의 지도의 전통입니다.

알았다라는 것과 좋다, 하자는 다릅니다. 결국 지도는

이해시키기 위한 목적이 아니고 신심근본으로 좋다,

 

나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전하자고 발심시켜 어본존에게 정성껏

 기원하는 신심을 세워야 합니다. 자신이 열어 보이겠다

상대에게 결의시키는 것이 지도의 요체라는 것을 깊이 가슴에 새겨

 나아가야 합니다. 결과가 나올 때까지 어떻게 해서든지

이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자. 광포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로 만들고 싶다는 일념으로 앞으로 또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말고 오늘 밖에 기회가 없다는 진지한 승부라는 각오로

어본존에게 깊이 기원하며 대화, 격려해야 합니다.

 

강한 인내심과 정성을 담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번, 세번 방문하는 것이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안된다는

것이 아니라 편지나 전화를 이용하는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구사하여 반드시 자기가 지도, 격려한 사람에 대해서는

해결할 때까지 책임지고 한다라는 일념으로 임해주기 바랍니다.

 

그리고 결과가 나오면 어본존으로부터

공덕을 받았으므로 좌담회 등에서

감사의 마음을 발표하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말해 주는 실천이

어본존에 대한 보은이 되는 것입니다. 이 보은의 염이 강하면

그 사람에게 다시 공덕이 나온다.

 

 공덕이 나오니까 또

체험발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체험담을 들은 사람이 발심하는 식으로

복운의 테두리가 크게 넓혀지게 되는 것입니다. 병이 낫다. 행복하게 됐다고

기뻐만 해서는 안된다. 보은 감사를 잊어서는 안됩니다.

 

거기에 환희가 솟아 나오고 복운이 따라 오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